1. print() 함수 : 데이터 출력
print() # 빈 줄을 출력한다.
print("Hello", "world") # Hello world (공백이 생성된다.)
print("Hello" + "world") # Helloworld (연결이라고 생각하기!)
- print()를 변수에 넣지 않는다. ex) age = print(20) (X)
- 문자열끼리는 더할 수 있지만, 문자열과 숫자는 더할 수 없다. (곱셈은 가능한데, 이는 반복의 의미이다.)
print(">_<" * 2)
# >_<>_<
2. input() 함수 : 입력
- 실행시간(run-time)에 문자열을 입력받아 변수에 반환한다.
- 주의 : input 함수는 항상 문자열로 반환한다. -> 정수로 입력받기 위해서는 int를 사용해야 한다.
age = int(input("나이 = "))
print(age)
나이 = # 20 (입력)
# 20 (출력)
3. 산술 연산자 (Arithmetic Operators)
+ : 더하기
- : 빼기
* : 곱하기
/ : 나누기
** : 거듭제곱
// : 몫
% : 나머지
* 우선순위 : () → ** → +x, -x(양수/음수) → *, /, //, % → +, -
4. Debugging
1. 문법 오류 (Syntax Errors)
2. 실행시간 오류 (Run-time Errors)
3. 논리 오류 (Semantic/Logic Errors)
5. 예제
# 길이가 a, b, c인 직선으로 삼각형을 만들 수 있는지 여부를 True 혹은 False로 출력
result = a < b + c and b < a + c and c < a + b
print(result)
# a, b, c = 1, 1, 1
# True
# 실행시간에 [1, 99] 사이의 숫자를 하나 num 변수에 입력받고 숫자의 크기만큼 대괄호 안에 공백없이 반복하여 출력
num = input("num >>> ")
print("[" + num * int(num) + "]")
# num >>> 3
#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