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이머시브 마지막 HA가 끝나고 First Project가 시작되는 날이다. 어쩌다보니 3명에서 하게 됐지만ㅠㅠ Final 때는 4명으로 하고싶다...3명이다 보니 똘똘 뭉쳐서 열심히 하게 되는 것 같기도?? 오늘은 코드를 짜기 전에 Wiki를 쓰면서 SR(Software Requirement) 단계를 진행했다. 나는 이번 프로젝트에선 백엔드를 맡게 되었다 :)
1. 프로젝트 주제
일단 팀장을 정했고 그 다음은 주제를 먼저 정해야 팀 이름이나 프로젝트 이름을 정할 수 있을 것 같아 먼저 서로 의견을 공유했다. 여러 주제가 나왔는데 첫 프로젝트라는 점과 2주 안에 실현 가능한가를 위주로 주제를 선택했다. 그렇게 정한 주제는 식물 다이어리이고 이름은 Plantingg🌱 으로 정해졌다!!
2. 팀 규칙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사소한 거라도 규칙을 잘 정해놓아야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래서 PR을 날릴 때나 Commit Message에 대한 규칙, npm과 node 버전 통일 등을 규칙으로 정했다.
3. 기능 리스트업
우리 주제의 kick 기능을 정하고 추가적으로 어떤 기능을 넣을지 의견을 나누었다. 그 기능들을 Bare Minimum, Advanced, Nightmare로 나누었고 Bare Minimum을 완벽하게 끝내는 것을 1차 목표로 잡았다.
4. Front-End 세부 기획
miro를 이용해 Wireframe과 Flow Chart를 완성했다. Wireframe을 짜다 보니 페이지가 자꾸 늘어나서 당황했다. 그리고 자세하게 구상하다 보니 처음 의도는 나만의 식물 다이어리였는데 채팅 기능도 넣고 이것저것 넣다보니 인스타그램처럼 변하고 있었다. 그래서 방향성에 대해 다시 얘기를 나누었고 이후에는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었다.
5. Back-End 세부 기획
백엔드는 DB Schema를 작성하고 API의 대략적인 틀과 Flow Chart를 작성했다. dbdiagram과 파워포인트, gitbook을 이용해 작성했다.
API는 응답 부분을 아직 적지 않아 다음 게시물에 올릴 예정이다.
'Project > plantingg'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 로그인 배포 (0) | 2021.06.13 |
---|---|
#5 : 로그인 & 회원가입 (0) | 2021.06.11 |
#4 : JWT (0) | 2021.06.11 |
#3 : sequelize 및 controller 작성 (0) | 2021.06.09 |
#2 : SR (2) (0) | 2021.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