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본 설정
기능 구현을 시작하기 전에 첫 번째로 .gitignore부터 작성했다. .env, node_modules 등을 넣어주었고 .env 파일을 작성하면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config.js파일도 작성했다. 다음으로 package.json도 작성했는데 package.json부터 만든 게 처음이라 낯설었다.
npm init
npm init을 하면 여러 옵션을 추가하도록 뜬다. package name, version, description, entry point, test command, git repository, keywords, author, license가 순서대로 뜨는데 이러한 옵션을 기본값으로 하고 시작하고 싶을 땐 -f(--force)나 -y(--yes)를 추가하면 된다. 이렇게 초기화 과정을 마치면 사용할 모듈들을 설치하면 된다. 이때 배포 시 포함할지 안 할지에 따라 dependencies와 devDependencies 중 결정했다. nodemon, express, jwt, mysql, sequelize, cors, dotenv 등을 설치했다.
2. Migration
나는 MySQL 기반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것이라 아래의 페이지를 참고해 migration을 했다. 이미 설치는 미리 해놨으므로 init으로 기본 파일들을 생성했다. 그리고 모델을 형식에 맞춰 생성하고 migration까지 완료했다.
https://sequelize.org/master/manual/migrations.html
npx sequelize-cli init
npx sequelize-cli model:generate --name User --attributes name:string,email:string
npx sequelize-cli db:migrate
3. index.js & controllers
이전에 했던 스프린트도 보고 내가 설치한 모듈들을 참고하여 index.js를 작성하였다. 일단은 https 형식으로 작성했다.
이후 대략적으로 controllers에 user와 plant로 나누어 쉽게 쓸 수 있는 부분 위주로 빠르게 작성했다.
'Project > plantingg'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 로그인 배포 (0) | 2021.06.13 |
---|---|
#5 : 로그인 & 회원가입 (0) | 2021.06.11 |
#4 : JWT (0) | 2021.06.11 |
#2 : SR (2) (0) | 2021.06.08 |
#1 : SR(1) (0) | 2021.06.07 |